파릇한 수경재배

호박이넝쿨책 4

[2025년 도시농사 이야기] 안내 (2025.05.03)

도시에서 어떻게 농사를 지을까? 노지재배, 수경재배, ICT, 스마트팜,... 식물 키우는 것에 대해 온갖 것들을 이야기해 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아래 목록은 주제 없을 때나 쓰는 거고, 가장 좋은 주제는 오신 분이 이야기하는 주제! 일시: 매월 넷째 월요일 저녁 7시장소: 호박이넝쿨책 (성북구 아리랑로 120-10 1층) 링크이야기꾼: 박영기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도시농사 이야기(11월): 비료를 어떻게 만들어? (일정 변경)

일정이 변경되었으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비료를 돈 주고 사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료의 재료는 넘치고 넘쳐서 돈 주고 버려야 하는 시대이기도 합니다. 순환이 끊어진 대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11월에는 비료 만들기에 대해 알아보고, 도시에서 비료를 만드는 것의 한계와 대응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일시: 2024.12.07.(토) 오후 5:00-6:302. 장소: 호박이넝쿨책(책방). 성북구 아리랑로 120-103. 회비: 없으나, 끝나고 저녁 식사는 각자 냅니다.4. 이야기 하는 이: 박영기(성북수경재배네트워크 대표) https://myslice.is/@st4008

도시농사 이야기(8월): 도시농사의 예

안녕하세요? 박영기입니다.   도시농사 이야기, 8월에는 도시농사의 예에 대해서 다룹니다. 옥상에서 식물을 기른 이야기, 계단 난간에서 벼를 기른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환경제어를 이용한 예로 메트로팜, 스마트팜 카페도 소개드립니다.    옥상 텃밭 사진 몇 장 올립니다. 성북50플러스센터 옥상 텃밭은 수강생과 함께 만들었고, 너른마당 옥상 텃밭은 선생님들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저희 집 옥상 텃밭은... 혼자서 만들었습니다. 퇴비 만들기, 텃밭 활동, 도시농업, 전환도시운동에 관심 있으신 분 오세요~.   1. 일시: 2024.08.24.(토) 오후 5:00-6:302. 장소: 호박이넝쿨책(책방). 성북구 아리랑로 120-103. 회비: 없으나, 끝나고 저녁 식사는 각자 냅니다.4. 이야기 하는 이: 박영..

도시농사 이야기(7월): 탄소중립 이후의 세상

안녕하세요? 박영기입니다.   도시농사 이야기, 7월에는 탄소중립 이후의 세상에 대해서 다룹니다. 학자들도 자신 있게 예측하지 못할 일을 동네 사람들끼리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우리의 선견지명을 검증하려는 것이 아니라 확실히는 모르더라도 어떻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고, 그 중 중요하다 싶은 것, 할 수 있는 것을 준비해 보자는 것입니다. 나중에 도시농사로 귀결될 것이지만 생각해 본 것과 아닌 것의 차이는 활동할 때에 뚝심으로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한편, 도시농사를 실제로 해 보기 위한 준비도 하고 있습니다. 구민회관과 한신아파트 201동 근처에서 이미 텃밭 활동을 하고 있고, 정릉역 근처 주택의 옥상은 가을부터 텃밭을 만들 계획입니다. 텃밭이 늘어나면서 텃밭지기도 찾고 있으니 도전해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