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릇한 수경재배

전체 글 634

도시농사 이야기_5월의 이야기(2025년 05월)

도시에서 어떻게 농사를 지을까? 노지재배, 수경재배, 스마트팜,... 식물 키우는 것에 대해 온갖 것들을 이야기해 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5월에는 “수경재배하면 식물이 더 잘 자랄까?”라는 주제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1. 일시: 5/26(월) 저녁 7시장소: 호박이넝쿨책 (성북구 아리랑로 120-10 1층) 링크이야기꾼: 박영기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4.1 시리얼 모니터 다시 보기: (2) 시리얼 모니터로 송수신하기

블루투스는 시리얼 모니터가 하는 일을 무선으로 대신하는 것과 같이 동작한다. 그러므로 시리얼 모니터 사용법을 먼저 익히도록 하겠다. 여기서는 시리얼 모니터에서 1을 누르면 아두이노 보드의 LED가 켜지고, 0을 누르면 꺼지도록 해 보겠다. 아울러 LED의 ON/OFF를 시리얼 모니터에 알려주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실행해 보겠다. 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사용하겠다. serial_monitor_2022-07-18.ino를 컴퓨터에 업로드한다. (아래 파일 첨부)아두이노 우노 보드를 USB케이블로 컴퓨터에 연결한다.아두이노 IDE를 실행하고 serial_monitor_2022-07-18.ino를 부른다.아두이노 IDE에서 보드와 포트를 맞게 선택한다.→을 클리하여 컴파일 및 업로드한다.⊙(실제는 돋보기 모양)을 ..

카테고리 없음 2025.05.16

4.1 시리얼 통신 다시 보기: (1) 시리얼 모니터의 역할 다시 보기

시리얼 모니터는 프로그래밍을 하는 동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프로그램 실행 중 에러가 날 때 어디까지 진행되다 에러가 나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시리얼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의심되는 명령어 전후에 시리얼 모니터로 출력하는 코드를 넣어서 실행시키면 의심되는 명령어가 에러를 일으키는지를 알 수 있다. 또, 프로그램이 너무 빨리 실행되어서 파악이 곤란할 때는 시리얼 모니터로 입력받는 코드를 넣어두면 입력을 받기까지 프로그램이 멈추어 있으므로 어디까지 실행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4.1 시리얼 통신 다시 보기: 링크(1) 시리얼 모니터의 역할 다시 보기: 링크 (여기)(2) 시리얼 모니터로 송수신하기: 링크

4.1 시리얼 통신 다시 보기

(1) 시리얼 모니터의 역할 다시 보기: 링크(2) 시리얼 모니터로 송수신하기: 링크4장 블루투스를 이용한 모니터링 및 제어: 링크4.1 시리얼 통신 다시 보기: 링크4.2 블루투스 통신과 블루투스 모듈: 링크4.3 아두이노 보드와 스마트폰으로 블루투스 통신하기: 링크4.4 스마트폰으로 LED ON/OFF: 링크4.5 온습도 읽어 시리얼 모니터에 표시하기: 링크4.6 온습도를 스마트폰으로 모니터링하기: 링크4.7 스마트폰으로 온습도를 모니터링하고 LED 제어하기: 링크4.8 앱 인벤터 간단 설명: 링크4.9 간단한 앱 만들어서 실행해 보기: 링크4.10 앱으로 온습도 모니터링과 제어: 링크

4장 블루투스를 이용한 모니터링 및 제어

블루투스(bluetooth)는 짧은 거리에서 마우스, 키보드,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을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블루투스가 내장되지 않은 PC는 블루투스 동글(bluetooth dongle)을 꽂으면 블루투스를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는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추가의 연결 장치 없이 바로 블루투스를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가 된다는 말은 무선으로 무언가를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있음을 뜻한다. 이 장에서는 아두이노 보드와 블루투스 모듈을 결합하여 스마트폰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방법을 공부하겠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하려고 한다. 블루투스를 통해, 아두이노가 보낸 온습도를 스마트폰으로 모니터링한다.블루투스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3.4 예제 스케치 실행하기: (5) 인터넷에서 구한 프로그램 사용하는 법

아두이노 IDE에서 제공하는 예제 프로그램 외에도 인터넷에서 많은 프로그램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두이노 홈 페이지에서 COMMUNITY > PROJECT HUB로 들어가면 많은 실례를 볼 수 있다. 아두이노 IDE는 끌어서 놓기(드래그 앤드 드롭; drag-and-drop)가 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문서작성 프로그램에서 글을 베껴 넣듯이 마우스로 쉽게 스케치로 옮겨놓을 수 있다. 프로그램이 길 때는 스크롤 할 수 있는 창에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수가 많다. 이럴 경우 보통 프로그램을 복사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게 만들어 놓는다. 위 그림은 아두이노 홈페이지에 소개된 코드입니다. 코드가 길어서 화면 하나로 다 볼 수 없지만 스크롤 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전체 코드를 보기에 편합니다. 이런 코드를 ..

3.4 예제 스케치 실행하기: (4) 깜빡이는 시간 바꾸어보기

깜빡이는 시간을 결정하는 것은 delay(ms)의 ms 값이다. 2초 동안 켜고 0.5초 동안 꺼지게 하려면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을 바꾸면 된다. digitalWrite(LED_BUILTIN, HIGH);delay(2000);digitalWrite(LED_BUILTIN, LOW);delay(500); 직접 값을 바꾸어가며 확인해 보기 바란다.3.4 예제 스케치 실행하기: 링크 (1) 예제 프로그램 소개: 링크 (2) blink 실행해보기: 링크 (3) 명령문 설명: 링크 (4) 깜빡이는 시간 바꾸어보기: 링크 (여기)(5) 인터넷에서 구한 프로그램 사용하는 법: 링크

3.4 예제 스케치 실행하기: (3) 명령문 설명

스케치는 C++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 C++ 언어에서는 명령문은 언제나 세미콜론(;)으로 끝을 표시해야 한다. ;를 종결자(terminator)라고 하는데, 명령문이 끝났음을 알려준다. 하나의 명령문을 여러 줄로 나누어 쓰도 되고, 한 줄에 여러 명령문을 쓰도 된다. 보통은 읽기 쉽게 한 줄에 하나의 명령문을 쓴다. 그림 32에서 스크롤하여 아래쪽으로 내려가면 명령문들이 나온다. 몇몇 명령문들을 설명하겠다. 아두이노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설명은 아래 QR 코드를 참조 바란다. pinMode(LED_BUILTIN, OUTPUT)pinMode(pin, mode)은 보드의 핀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정해준다. pin: 사용할 핀의 번호를 넣어준다. 직접 핀 번호를 넣어주어도 되고 프로그램의 앞부분에서..

스마트팜 빅데이터 처리: 딸기 온습도 받아오기(2025년)

2024.10.28-29 "빅데이터 분석 전문과정"과 2025.03.21 "빅데이터와 AI 이해 및 활용(1기)"을 공부 후 온습도를 조절하면서 딸기를 키워보기 위해 식물재배기를 제작 중입니다."빅데이터 분석 전문과정 참여(2024.10.28-29)": 링크"빅데이터와 AI 이해 및 활용(1기) 참여(2025.03.21)": 링크 "DWC 방식의 스마트 재배기; 프로그램 완성(2024.08.26)": 링크 앞으로 선도농가의 환경정보를 받아서 재배기의 환경 제어에 적용해보기를 원합니다. 이를 위해 스마트팜 빅데이터를 받아서 원하는 환경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시도해 보았습니다. 스마트팜 빅데이터는 스마트팜코리아에서 받았습니다. 어느 정도 마무리가 되어 소개합니다. 충청남도 논산시 소재이고, 시설ID가 P..

3.4 예제 스케치 실행하기: (2) blink 실행해보기

아두이노 IDE를 연 다음 파일 > 예제 > 01.Basics > Blink로 들어간다. 그러면 새 창이 열리고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보드와 포트를 맞춘 다음 →을 클릭하여 컴파일과 업로드한다. 업로드가 완료된 후 아래와 같이 보드 위에 L이라고 쓰인 LED가 1초 ON, 1초 OFF가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보드 위의 LED아두이노 보드에는 LED들이 있다. ON이라고 되어 있는 것은 전원이 들어왔음을 표시하는 LED이다. TX라고 적혀 있는 LED는 아두이노 보드에서 다른 곳으로 신호를 내보낼 때 켜진다. RX라고 적혀 있는 LED는 다른 곳에서 아두이노로 신호를 받을 때 켜진다. 실제로 TX와 RX는 신호에 맞추어 빠른 속도로 깜빡인다. L이라고 적혀 있는 LED는 13번 핀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