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릇한 수경재배

전체 글 631

3.2 소프트웨어 설치하기: (1) 아두이노 IDE 설치하기

“Arduino IDE”라는 검색어로 검색하면 다음과 같이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를 찾을 수 있다.  1. OS 선택하기오른쪽 DOWNLOAD OPTIONS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여러 옵션이 제공된다. 아두이노를 사용할 컴퓨터의 OS를 확인하기 바란다. 여기서는 Windows 10을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사양이 맞지 않으면 아래쪽으로 더 내려가 보면 Legacy IDE (1.8.X)로 가서 old version을 설치할 수 있다.OS(Operating System)운영체제. 시스템 소프트웨어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Microsoft Windows), 맥 오에스(Mac OS X), 유닉스(Unix), 리눅스(Linux), 안드로이드(Android), iOS 등이 있다.2. 인터넷으로 설치할..

3.1 아두이노에 대해: (3) 아두이노(Arduino)에 대해

아두이노는 하드웨어에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이 자신들의 디자인 작품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이탈리아의 IDII(Interaction Design Institute Ivrea)에서 2005년에 고안한 컴퓨팅 플랫폼이다. 아두이노는 아두이노 보드 뿐만 아니라 아두이노 프로그램을 통틀어 말한다. 아두이노는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하여 보드의 회로도가 공개되어 있다. 이를 활용하여 여러 회사에서 아두이노 호환 보드를 만들고 있다. IDII에서 만든 것을 ‘정품 보드’라 하고, 다른 회사에서 만든 것을 ‘호환 보드’라고 한다. 호환 보드는 가격이 싸지만 칩셋이 다를 수 있고, 다른 칩셋을 쓰는 것은 드라이버를 설치해야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아두이노에서 칩셋은 컴퓨터와의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컴퓨터에 칩셋에 맞는..

3.1 아두이노에 대해: (2)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은 전자 부품을 기판의 표면에 고정하고 부품 사이를 구리 배선으로 연결하여 전자 회로를 구성한 판을 말한다. PCB에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주변 부품을 연결한 것을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또는 ‘MCU 보드’라고 한다. 잘 알려진 것이 아두이노 보드이다. 3.1 아두이노에 대해: 링크(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 링크 (2)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 링크 (여기)(3) 아두이노(Arduino)에 대해: 링크

3.1 아두이노에 대해: (1)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컨트롤러

프로그램의 명령어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를 프로세서(processor)라고 한다. 현대에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서는 커봐야 지우개 정도 크기 밖에 되지 않아 작다는 뜻으로 ‘마이크로’라는 말이 붙어 있다. 연산을 할 수 있는 초소형 처리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와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로 분류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를 MPU(microprocessor unit)로 부르기도 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를 MCU(microcontroller unit)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산에 특화된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내부에 레지스터, 제어장치, 연산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or unit)가 마이크로프로세서..

3장 아두이노를 이용한 전자식 자동제어

앞에서 스마트 플러그, 스마트 멀티탭, 스마트 릴레이와 같이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전원기기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스마트 전원기기가 자동으로 하는 일은 주로 맞추어 놓은 스케줄대로 스위치를 켜고 끄는 동작이다. 센서를 사용하여 무언가를 감지해서 어떤 동작을 시키려면 자동제어 기술이 필요하다. 자동제어를 위해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주로 사용한다. 그 중 널리 알려진 것이 아두이노이다. 이 장에서는 아두이노를 이용한 자동제어를 다룬다. 이 장에서는 스케치를 설치하고 간단한 예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변경해 볼 것이다. 실제로 사용할 때에는 수위센서, 수중펌프 등과 같은 주변기기를 연결해야 한다. 사용하는 주변기기와 회로연결 등은 실물을 만드는 글에서 자세히 소개하겠다.1부 스마트한 기술 익히기: 링크3.1..

LoRa 통신 학습(2025년)

스마트팜을 가 보니 미술 시간에 배운 원근법, 소실점이란 단어가 떠오릅니다. 저런 곳에 센서 노드를 설치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받으려면 통신 거리가 길어야 합니다. 블루투스도 안되고 와이파이도 안 되는 거리입니다. 자료를 보니 스마트팜에 적용할 수 있는 통신 방식으로 LoRa가 소개되어 있어 간단히 송수신이 되는지까지만 시험하기로 했습니다. 해 보니 블루투스 통신과 비슷했습니다. 몇 가지 세팅만 하고 시리얼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었습니다. 결과는 이렇게 쉬운데, LoRa 통신 모듈 구입한 것이 두 번이나 불량인 것이 와서 애를 먹었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을 봐 주세요^^.1.  LoRa 모듈 구입LoRa 모듈을 2개 샀다. SX1278을 사용한 것이다. 하나는 송신기로, 다른 하나는 수신기..

빅데이터와 AI 이해 및 활용(1기) 참여(2025.03.21)

작년 10월에 Python을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3기)를 수강했는데, 일하는 데에 도움이 되어서 이번에는 빅데이터와 AI 이해 및 활용(1기)를 신청했다. 추첨으로 교육대상자를 뽑았는데 다행히 뽑혔다. 많은 기관이 들어와 있다. 빅데이터캠퍼스는 15층이다. 세미나실에서 교육이 이루어졌다. 지급받은 교재이다. 쉬는 시간에는 휴게실에서 푹신한 의자에 앉아 머리를 식혔다.  수료증을 받았다. 지난번 교육은 이틀에 걸쳐 해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는데, 이번 교육은 하루로 끝났고 지난번 교육과 중복되는 것이 많아서 아쉬움이 있었다. 교재를 다시 보면서 공부해야겠다."빅데이터 분석 전문과정 참여(2024.10.28-29)": 링크"빅데이터와 AI 이해 및 활용(1기) 참여(2025.03.21)": 링크 (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