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릇한 수경재배

기타 활동/MAKER 활동 17

3D 프린터 온도 센서 교체(2024년)

2024년 9월에 히팅 베드를 설치했다(링크). 예전보다는 훨씬 나은 출력이 나왔는데, 어느 때부터인가 녹은 필라멘트가 베드에 잘 붙지 않고, 출력된 것도 찌그러짐이 많아졌다. 살펴보니 온도 센서(LM35, 아날로그 방식)의 다리가 부러져서 연결이 되었다 안되었다 하고 있었다. 같은 온도 센서 LM35를 사서 온도를 측정해보니 온도 데이터가 floating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래저래 하다가 온도 센서 자체의 특성이 그러하다고 생각되어, 많이 사용해왔던 디지탈 온도 센서(AM2302)를 사용하기로 했다. 1. AM2302 시험 AM2302 센서 모듈에는 AM2302 센서가 납땜되어 있는데, 기판에서 들어올리면 다리가 구부러지면서 공간이 생긴다. 센서의 바닥을 베드의 알루미늄 판 위에 밀착하도록 케이블타..

3D 프린터 전원부 수리(2020년)

3D 프린터에서 타는 냄새가 나서 살펴보니 전원 플러그가 손으로 잡지 못할만큼 뜨거웠다.  플러그를 빼 보니 일부가 녹아 있었다. 플러그의 금속이 얇아 보였다. 전류를 감당하지 못해 열이 난 것 같다.  잭도 온전치 못할 것이라 생각하여 잘라내었다.  사각형의 커넥터로 바꾸었다.  고친 후 전원을 연결한 모습이다.  이제는 전원 공급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링크3D 프린터 제작(2016-2017년)3D 프린터 필라멘트 공급부 수리(2021년)PEANUT i3 3D 프린터 익스트루더 수리(2024년)3D 프린터 히팅 베드 설치(2024년)

3D 프린터 히팅 베드 설치(2024년)

PEANUT i3 3D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필라멘트 녹은 것이 베드에 잘 붙지 않고, 결과물이 찌그러지는 현상이 있어 이를 완화하기 위해 히팅 베드를 설치했습니다. 수리 과정 소개합니다. 1. 히팅 베드 구입 히팅 베드를 구입했다. DC 12V, 소모 전력 90W, 전류 7.5A이다. SMPS로 전력을 공급하니 열이 잘 났다. 2. 온도 센서 선택온도 센서는 TO-92형의 LM35를 선택했다. LM35 데이터시트: 3. 온도 센서 부착(1) 3D CAD 작업  온도 센서를 베드에 부착하기 위해 홀더를 3D CAD로 그렸다. (2) 온도 센서 홀더 3D 프린팅  베드에 히터를 부착하고 임시로 만든 제어기를 연결하여 온도 센서 홀더를 3D 프린트했다. (3) 베드 분리  온도 센서를 부착하려면 베드에..

PEANUT i3 3D 프린터 익스트루더 수리(2024년)

PEANUT i3 3D 프린터 KIT를 사서 조립하여 사용하다가 익스트루더 부분에 고장이 나서 수리하여 사용해 왔습니다. 그 부분이 또 고장나서 익스트루더를 구입하여 부착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수리 과정 소개합니다. 1. 도면 2D CAD로 치수를 맞추어서 도면을 그렸다. 아래쪽 부품(부착 부품)은 3D 프린터 몸체에 고정한다. 위 네모가 있는 부품(홀더)은 스테퍼 모터를 끼우고 조일 수 있는 구조로 했다.   부착 부품의 3D 도면이다.  홀더의 3D 도면이다. 2. 수리 다음의 순서로 수리했다. 부착 부품을 3D 프린터에 결합홀더를 부착 부품에 결합익스트루더를 스테퍼 모터에 결합위 3를 홀더에 결합필라멘트 끼우기 (1) 부착 부품을 3D 프린터에 고정  부착 부품을  3D 프린터에 먼저 ..

적외선을 눈으로 보기-2(2022.03.08)

적외선을 눈으로 보기-1에서 시간지연이 발생하여 LED가 켜지는 위치가 어긋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한 내용을 소개합니다. 결론적으로 위치가 어긋나는 문제는 해결하지 못했고, 적외선의 강도에 따라 LED의 밝기가 달라지는 개선이 있었습니다. 아래에 과정을 소개합니다. 적외선을 눈으로 보기는 이 정도로 하고 다음 주제로는 소리를 눈으로 보는 좀 더 어려운 과제를 하려고 합니다. 적외선 포토 다이오드 특성 알아보기 포토 다이오드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킬로옴의 저항을 직렬로 연결하고 역전압을 걸었습니다. 출력은 포토 다이오드 양단에서 취했습니다. 포토 다이오드에 적외선을 비추었을 때는 전류가 0.5mA가 흐르고 양단의 전압은 0V가 나왔습니다. 마치 단락된 것과 같았습니다. 적외선을 비추지 않았을 ..

적외선을 눈으로 보기-1(2022.02.06)

"All Reality: Virtual, Augmented, Mixed (X), Mediated (X,Y), and Multimediated Reality"라는 논문(아래 첨부) 중 2 MULTIMEDIATED REALITY 중 2.3 Multimediated Reality Darkroom에 나오는 내용을 보고 적외선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을 만들어 보기로 했습니다. 논문은 아래 첨부했습니다. mediated reality는 매개현실이란 뜻입니다. multimediated reality는 다중매개현실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darkroom은 암실을 뜻합니다.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혼합현실(mixed reality)... 많은 용어가 있네요..

3D 프린터 필라멘트 공급부 수리(2021년)

제가 사용하는 3D 프린터는 Peanut i3라는 것인데, KIT로 사서 조립한 것입니다. 지금은 단종되었네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게시물이 없습니다" data-og-host="mediaflow.cafe24.com" data-og-source-url="http://mediaflow.cafe24.com/product/3d%ED%94%84%EB%A6%B0%ED%84%B0-peanut-i3-%EB%B6%80%ED%92%88-%EC%84%B8%ED%8A%B8/398/" data-og-url="http://mediaflow.cafe24.com/product/3d프린터-peanut-i3-부품-세트/398/" data-og-image="https://scrap.kakaocdn.net/dn/ceck1Y/hyNsWJuK..

1구 콘센트와 릴레이 결합

만든 이유 수경재배 강좌 중 아두이노를 이용한 자동제어에 대한 강의를 하다보면 아두이노에 넣어준 프로그램에 의해 릴레이가 동작하는 것을 뒷자리에 멀리 앉아있는 수강생도 볼 수 있게 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작은 LED나 부저로도 릴레이가 동작하는 것을 보여줄 수도 있지만 확실하게 보여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히 농업기술센터에서 하는 강의에는 인원이 50명을 넘어가는 때도 있어 좀 더 확실하게 동작을 보여주는 방법이 있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또다른 이유는 5V로 동작하는 아두이노로 220V에서 사용하는 전등을 켜면 '아! 저걸로 전기기구를 켜고 끌 수 있겠구나'하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릴레이는 전기로 동작하는 스위치이기 때문에 아두이노에 넣어준 프로그램에 따라 집안의 전..

<DATA MINING: 데이터마이닝> 참여 (2020.10.31-11.26)

창작집단 WAY가 2020.11.25-29 동안 스페이스 원오프에서 이라는 제목의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WAY 인터뷰: 성북구를 기반으로 활동하는 창작집단 웨이를 만나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저는 신지선 작가를 도와 데이터 오르골이 실제로 작동할 수 있도록 기계장치를 만드는 일을 했습니다. 전와 신지선 작가는 성북문화예술교육가협동조합 마을온예술의 조합원으로 알게 되었습니다. 신지선 작가: 마술사•문화예술기획자 지선이의 공간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마을온예술: m.blog.naver.com/PostList.nhn?blogId=communityonart2016 1. 연락 옴 (2020.10.31) 미아사거리 근처의 삼계탕집에서 만났습니다. 이야기의 골자는 칼림바(kalimb..

시계 만들기

시각을 알기 위해서 휴대폰을 봐도 되지만, 꺼내서 단추를 눌러야 볼 수 있어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그냥 눈알만 돌리면 바로 볼 수 있는 시계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부품: 아도이노 우노, Tiny RTC, 16*2 LCD display 케이스는 햄 캔을 사용했습니다. LCD 디스플레이를 고정하고 회로를 연결하여 동작을 확인했습니다. Tiny RTC와 아두이노 우노를 케이스에 넣어 보아 크기가 적당한지 확인했습니다. 몸통 고정 전 뒤집어서 몸통과 머리부 고정 중 몸통으로 사용할 알루미늄캔이 너무 가벼워서 잘 넘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루미늄캔 속에 조약돌을 넣어 무게중심을 낮추었습니다. 완성했습니다. 이제 시각을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폰을 꺼내들고 버튼을 누르는 일 없이 눈알만 굴리면 됩니다. 관련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