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터의 히팅 베드가 가열되지 않는 현상이 있었다.
테스터로 점검해보니 히터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았다. 거슬러 올라가면서 확인해보니 릴레이가 ON인데도 출력 단자에 전압이 나오지 않았다. 릴레이의 접점이 망가진 것 같았다. 아두이노 학습에 사용하는 릴레이를 사용했는데, 씌어 있는 사양보다 더 적은 전류를 쓰는데도 빨리 망가졌다.
DC 12V용 고전류 릴레이를 사용하기로 했다.
DC 12V용 릴레이와 소켓을 함께 샀다.
'12'는 12V를 뜻하는 것 같고, 14VDC는 DC 14V까지 쓸 수 있는 것 같다. 80/60A는? 12V에서 쓰면 80A까지, 14V에서 쓰면 60A까지 쓸 수 있다는 말인가? 릴레이 규격에 대한 자료를 보았으나 잘 모르겠다. 중국 제품이라서 중국에서 쓰는 형식으로 적어 놓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아무튼 DC 12V로 쓰면 되고, 60A 이상이면 충분하니 신경 곤두세워서 알아볼 것은 없을 것 같다.
릴레이를 어디에 고정할까 하다가 엔클로저 뚜껑에 있는 볼트를 이용해서 고정했다.
릴레이를 소켓에 완전히 끼우려고 했으나 손이 떨리도록 힘을 주어도 들어가지 않아 이 정도에서 그만두었다. 전에 다른 용도로 샀을 때도 그러더니만 새로 산 것도 그러네~. 동작만 잘 한다면 괜찮다.
아두이노 나노는 5V를 사용하고 80A 릴레이는 12V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두이노 나노가 직접 구동할 수 없다. 아두이노 나노에 망가진 릴레이를 빼내고 새 릴레이를 연결했다. 이 5V 릴레이 출력에 12V를 연결하여 80A 릴레이를 구동하도록 했다. 꼬마 릴레이가 형님 릴레이를 구동하는 꼴이다.
잘 작동했고 2025.04.11 현재까지 잘 쓰고 있다.
"3D 프린터 제작(2016~2017년)": 링크
"3D 프린터 전원부 수리(2020년)": 링크
"3D 프린터 필라멘트 공급부 수리(2021년)": 링크
"PEANUT i3 3D 프린터 익스트루더 수리(2024년)": 링크
"3D 프린터 히팅 베드 설치(2024년)": 링크
"3D 프린터 온도 센서 교체(2024년)": 링크
"3D 프린터 보수: 5핀 80A 릴레이 적용(2025년)": 링크 (여기)
'기타 활동 > MAKER 활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3D 프린터 온도 센서 교체(2024년) (0) | 2025.03.11 |
---|---|
"햇빛이 물을 주는 화분" (2017년) (0) | 2025.01.25 |
3D 프린터 전원부 수리(2020년) (0) | 2024.09.11 |
3D 프린터 히팅 베드 설치(2024년) (0) | 2024.09.05 |
PEANUT i3 3D 프린터 익스트루더 수리(2024년) (0) | 202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