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릇한 수경재배

수경재배 주제별 자료 147

LoRa 통신 학습(2025년)

스마트팜을 가 보니 미술 시간에 배운 원근법, 소실점이란 단어가 떠오릅니다. 저런 곳에 센서 노드를 설치해서 무선으로 데이터를 받으려면 통신 거리가 길어야 합니다. 블루투스도 안되고 와이파이도 안 되는 거리입니다. 자료를 보니 스마트팜에 적용할 수 있는 통신 방식으로 LoRa가 소개되어 있어 간단히 송수신이 되는지까지만 시험하기로 했습니다. 해 보니 블루투스 통신과 비슷했습니다. 몇 가지 세팅만 하고 시리얼 통신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었습니다. 결과는 이렇게 쉬운데, LoRa 통신 모듈 구입한 것이 두 번이나 불량인 것이 와서 애를 먹었습니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음을 봐 주세요^^.1.  LoRa 모듈 구입LoRa 모듈을 2개 샀다. SX1278을 사용한 것이다. 하나는 송신기로, 다른 하나는 수신기..

옥상 양액공급 자동화; 한 재배기에 적용; 설치 준비(2024.12.22)

옥상에서  양액을 사용하여 저면급액법으로 식물을 기르고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양액 소비량이 많아 매일 양액을 각 재배기에 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하루 이상 집을 떠나기도 어렵습니다. 시간을 벌기 위해 양액 공급을 자동으로 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양액 만드는 것은 수동으로 하더라도, 만들어 놓은 양액을 식물로 공급하는 것이라도 자동으로 하고 싶은 것이지요. 우선 한 재배기에 적용할 것을 만들어 적용해보고, 보완하여 모든 재배기에 적용할 생각입니다. 한 재배기에 사용할 준비를 마쳐서 소개합니다. 그 동안 겨울이 되어 버렸네요. 봄이 오면 배관 자재를 사서 설치하려고 합니다.1. 무선공유기 구입  옥탑방에서는 와이파이가 되지 않아 무선공유기를 구입했다. 무선공유기를 옥탑방..

탄질율을 맞추기 위해 넣는 재료의 양 계산(2024.11.17)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퇴비를 만들 때 탄소:질소의 비율을 30:1 정도를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퇴비를 만드는 재료의 탄소 함량과 질소 함량을 알고 있을 때 원하는 탄질율로 맞추기 위해 넣어주는 재료의 양을 계산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내용이 농학 관련 책에 어딘가 있을텐데, 제가 농학 전공자가 아니라서 금방 찾을 수도 없고해서,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수식을 만들었습니다. 1. 부재료의 양    2. 적용 예  탄질율에 맞추어 {깻묵과 톱밥}, {깻묵과 볏짚}으로 퇴비 만들기를 시도했으나 충분한 온도로 올라가지 않았습니다. 자료에는 퇴비의 중심 온도가 60~70 ℃까지 올라간다고 합니다. 이유를 알아보니 퇴비의 양이 적어도 1㎥는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큰 규모로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적절..

모종 급수 자동화_상추 모종 기르기(2024.11.04)

전도 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종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링크이를 상추 모종을 기르는 데에 적용하여 실용성을 확인했습니다.아래에 과정 전합니다. 1. 설치모종 급수 자동화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추 씨앗으로 모종을 키워보았다. (1) 2024.09.11 씨앗 심기, 모종 급수 자동화 장치 설치   암면과 질석에 각각 상추 씨를 심고 모종용 트레이에 넣었다. 모종용 트레이는 사각수저함을 활용했다.   전체적인 모습이다. 왼쪽은 제어기이고, 오른쪽은 꿀병에 펌프를 넣고 물을 부었다. 물이 나오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밸브를 달았다. 물이 나오면서 생기는 물결이 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위센서는 왼쪽 끝에 두었고, 호스는 오른쪽에 두었다. 수중펌프를 설치..

성동50플러스센터 "수경재배 첫 만남" 2023년 3기

성동50플러스센터에서 진행하는 "수경재배 첫 만남" 2023년 3기 내용이 정리되어 소개합니다. 1. 포스터 2. 강의 내용  3. 발아 사진 첫 강의에서 수경재배기를 만들었고, 둘째 강의에서 씨앗 심기를 했다. 모듬상추 씨앗을 암면플러그에 심었다. 여름철이라 실패를 대비하여 3개씩 심으라고 했다. 씨앗을 심은 후 재배기에 넣어 충분한 빛을 받도록 안내했다. 씨앗 심은 지 약 일주일 후에 사진을 카톡에 올리라고 하니 몇몇 수강생이 올려주었다. 싹난 것의 줄기가 짧고 굵은 것을 보니 충분한 빛을 받은 것 같다. 두번째 사진의 새싹은 뿌리가 암면 위로 드러나 있는데,  씨앗을 너무 얕게 심어서 뿌리가 암면을 파고들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여름철이라 고온에 노출되었을 때는 줄기가 가늘고 헝클어지듯 자라는 수..

모종 급수 자동화 장치_전도 방식(2024.08.29)

모종 급수 자동화 장치를 개발한 이유모종을 매일 관리할 수 있다면 굳이 자동화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씨앗을 심어 놓고 강의하는 건물에 둔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수차례의 강의로 이루어진 강좌는 대부분 매주 1회씩 이루어집니다. 이런 상황 때문에 씨앗을 심어 모종으로 키우는 것을 자동화하지 않으면 식물을 온전히 키울 수가 없습니다. 꺾꽂이한 것, 모종에서 옮겨심어 키우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수경재배 강의할 때 아쉬운 것이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점이었습니다. 앞으로 가능하면 강의하는 건물 내에 재배기를 갖다 놓고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보여주려고 합니다. 자동화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재배기를 쉽게 설치하고 철수할 수 있는 방법도 필요합니다. 모종을 만드는 과정의 특징  위 사진은 입자..

옥상 양액공급 자동화; 한 재배기에 적용; 프로그램 완성(2024.08.25)

옥상에서  양액을 사용하여 저면급액법으로 식물을 기르고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양액 소비량이 많아 매일 양액을 각 재배기에 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하루 이상 집을 떠나기도 어렵습니다. 시간을 벌기 위해 양액 공급을 자동으로 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양액 만드는 것은 수동으로 하더라도, 만들어 놓은 양액을 식물로 공급하는 것이라도 자동으로 하고 싶은 것이지요. 우선 한 재배기에 적용할 것을 만들어 적용해보고, 보완하여 모든 재배기에 적용할 생각입니다. 한 재배기에 사용할 것의 프로그램들이 완성되었습니다. 제가 코딩을 알려주는 목적으로 쓰는 글이 아니라 code는 공개하지 않는 점 이해하시기 바랍니다.1. 양액 공급 자동화_개요  1. 통신  (1) MQTT 통신을 적용한다..

연천군 농업기술센터 강의(2024년)

3월초에 연천군 농업기술센터 농업대학 담당자로부터 강의 의뢰가 들어왔습니다. 농업대학 스마트농업과 학생 대상으로 '수경재배의 원리와 방식'에 대해 1:30-5:30 (4시간) 2회를 요청받았습니다. 스마트농업은 농업에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를 적용한 것을 말하는데, 토경재배보다는 수경재배에 많이 적용하는 편이고, 스마트팜은 거의 수경재배를 적용하기 때문에 수경재배의 기초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분야별 전문지식을 공부하기 전에 기초가 되는 수경재배를 교육하는 것이 제가 할 일입니다. 3월에 강사 프로파일을 보낸 후 5월에 강의자료를 보냈습니다. 2024.06.18 (화) 첫째날 작년 5월 강의 후 다시 오니 반갑네요. 그때는 4시간 ..

성동50플러스센터 "수경재배 첫 만남" 2023년 2기

1. 수강생 모집, 강의 안내2. 강의 내용   첫째 주에는 재배기를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하면 배운대로 집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둘째 주에는 씨앗을 심고, 세째 주에는 꺾꽂이를 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네째 주에 양액을 만들 때가 되면 씨앗 심은 것은 2주째이고 꺾꽂이한 것은 1주째가 되어 별 무리없이 옮겨심기를 할 수 있습니다.다서째 주에는 일반인이 적용할 만한 자동제어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일반인도 공부하면 값싸게 자동제어를 할 수 있음을  보여주려고 했는데, 수업 듣고 바로 적용하는 것으로 오해했는지 어렵다고 하네요. 바로는 안되고 공부해야 돼요~.^^ 3. 자라는 모습, 코멘트3/17에 씨앗을 심었습니다. 사진을 올려달라고 하니 여러 분이 사진을 올려주었습니다. 같은 날, 같은 장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