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릇한 수경재배

수경재배 주제별 자료/재배 결과 45

옥상에서 키운 수박 (2022년)

파종(2022.03.06)준비물 수박 씨앗을 심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준비습니다. 수박 씨앗, 화분, 질석, 씨앗 담을 작은 용기, 가위(씨앗 봉지 자르는 데에 쓰임), 포스트잇 플래그, 셀로판 테이프, 네임펜을 준비했습니다. 사진에는 없지만 화장지도 필요합니다. 씨앗을 심는 여러 일 중 가장 먼저 화분에 언제 무엇을 심었는가를 포스트잇 플래그에 네임펜으로 적어 셀로판 테이프로 붙였습니다. 이 일을 나중에 하려면 씨앗이 심어진 화분을 가지고 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합니다. 목표가 시각화되기 때문에 머리도 맑아집니다. 나만 그렇나~? ㅋ 구입한 수박 씨앗입니다. 다루기 쉽도록 미니 수박을 택했습니다. 이름이 솜사탕이네요. 솜사탕처럼 달콤한 수박이 열릴까요? ㅎㅎㅎ 농업 관련 상품명에는 재미있는 이름이 많습니..

옥상의 감자금고 (2022년)

'감자금고'라는 이름이 탄생한 배경감자 심기(2022.03.21) 금년에는 씨감자를 사지 않고 먹으려고 샀던 감자를 심었습니다. 감자를 심을 곳이 두 군데라서 감자 하나를 반으로 잘라서 하나씩 심었습니다. 영농교본 등에는 감자를 자를 때에 칼을 소독하고, 자른 면도 말리든지 소독하라고 되어 있지만 따르지 않았습니다. 식칼로 잘랐는데, 식칼은 쓰고 나서 씻어서 말려 놓으니 깨끗한 상태이고, 감자를 심을 배지도 다른 식물을 심었던 배지와 새 배지를 반반 섞었기 때문에 감자와 관련된 해충이나 미생물이 거의 없을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두 조각으로 자른 감자 중 하나는 감자금고에 심고 나머지 하나는 40L짜리 묘목용 포트에 심었습니다. 배지는 사용하던 배지와 새 배지를 반반씩 섞었습니다. 처음에는 빗물저금통의..

무화과 겨울 지내는 방법 비교

무화과는 추위에 약하여 서울경기 지역에서는 겨울을 나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사람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서울에서도 겨울을 난다는 이야기가 있네요. 서울의 겨울 기온이 점점 높아져서 그런지 모르겠네요. 저는 안전하게 겨울을 나는 방법을 찾기 위해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결과1. 잎이 나 있는 가지를 양액에 꺾꽂이하니 뿌연 물질이 생기면서 부패했다.2. 잎이 질 즈음에 가지를 잘라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봄에 배지에 심으니 곰팡이가 피고 싹이 나지 않았다.3. 잎이 나 있는 가지를 버미큘라이트 꺾꽂이하니 큰 잎은 말랐지만 새잎이 나서 계속 자랐다. 이것을 봄에 옮겨심으니 잘 자랐고 열매도 맺혔다.4. 잎이 나 있는 가지를 잘라 잎을 제거한 뒤 암면에 꺾꽂이하니 새잎이 나서 계속 자랐다. 이것을 봄에 옮겨심으..

지하보도에서 키운 보리(2019년 10월-2020년 3월)

안녕하세요?2019년 성북생활문화주간 "동네예술, 공간을 채우자" 행사로 길음시장 앞 지하보도에 있는 길음예술사랑방 벽면에 보리를 키운 내용이 정리되어 소개합니다. 1. 수량 계산   길음예술사랑방 벽면에 키울 식물은 보리로 정했습니다. 보리가 추위에 강하므로 겨울을 지나 봄까지 푸르름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위 사진에서 창과 문을 기준으로 오른쪽과 왼쪽에 대칭으로 재배기를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왼쪽 재배기가 4대이니까 총 8대의 재배기를 설치합니다. 한 재배기당 8그루의 보리를 키울거니까 총 64그루의 보리를 준비해야 합니다.  2. 보리 준비하기 보리씨앗 심기   보리는 넉넉히 80그루를 목표로 심었습니다. 보리 씨앗은 암면플러그에 심었습니다.   4일 후   보리 싹이 났습니다. 심은 ..

꽃이 피는 가지로 꺾꽂이한 고추 (2020년 1월-11월)

1. 검토 목적  고추나무 줄기에 물이 닿으면 뿌리가 나는 현상을 보았습니다. 고추나무의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꽃이 피고 있는 고추나무의 가지를 꺾꽂이하여 계속 열매를 수확할 수 있는지 확인했습니다. 2. 고추 꺾꽂이에 관련된 자료고추 씨앗을 심어 뿌리를 잘라내고 꺾꽂이하는 방법  솜 리 골 (daum.net)  팔공산 효소 (daum.net) 3. 검토 과정(1) 꺾꽂이하다   꽃이 피고 있는 고추의 가지를 잘라 양액에 곧바로 담갔습니다. 양액의 농도는 약 600ppm입니다.   (2) 꺾꽂이한 가지의 성질   꺾꽂이한 가지는 어미 나무에서 꽃을 피우고 있던 부분이었습니다. 그런 이유로 꺾꽂이한 이후에도 계속 꽃봉오리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꽃이 시들하게 피었다가 곧 떨어지고 말았습니다. 열매를..

쪽파 (2019년 8월 - 2020년 9월)

옥상에서 쪽파 키운 내용이 정리되어 올립니다.  1. 환경 및 조건- 재배용기: 2.4L 플라스틱 꿀병을 사용했습니다. 아래쪽에 지름 5mm 구멍을 4개 뚫었습니다. - 트레이: 30L 수납함을 사용했습니다. - 배지:  다른 식물 키우고 남은 배지를 모아서 비를 맞힌 것을 다시 사용했습니다. 주 성분은 팽창질석(버미큘라이트; vermiculite)입니다.  - 수경재배 방식: 저면급액법을 적용했습니다. 트레이 측면에 구멍을 뚫고 ㄱ자형 원터치피팅을 끼워 최대수위를 어느 정도 조절할 수 있게 했습니다. - 물: 물은 빗물저금통에 받은 빗물을 사용했습니다. - 수경재배용 비료: 코씰에서 만든 종합한방 수경재배용 비료를 사용했습니다. 약 70L의 통에 빗물을 넣고 수경재배용 비료 A, B 각 30g씩 넣었습..

지하에서 기른 옥수수 (2019년)

2019년 지하에서 옥수수 기른 내용이 정리되어 소개합니다. DWC방식과 저면급액 방식으로 나누어 키웠습니다.    2월 5일에 씨앗을 심었는데 하나도 싹이 나지 않아서 그 자리에 다른 종류의 옥수수 씨앗으로 2월 15일에 다시 심었습니다. 배지는 버미큘라이트(중립?)을 사용하였습니다. 트레이에는 저면급액법으로 기르는 다른 식물들이 있습니다. 거기에 공간을 하나 내어 넣었습니다. 씨앗이 처음부터 양액과 접촉하는 일을 막기 위해 씨앗을 심고나서 물을 흠뻑 준 후에  트레이에 넣었습니다.   이번에는  씨앗 두 개 모두 싹이 났습니다.  1. DWC방식 적용  옮겨심기 위해 하나를 뽑았습니다. 푸슬푸슬한 버미큘라이트라서 뿌리가 상처없이 잘 나왔습니다. 옥수수는 외떡잎식물이라 수염뿌리를 가진다고 하지만 어릴 ..

양액만으로 키운 감자 (2017.04.09 - 2017.05.19)

DWC(Deep Water Culture)방식으로 감자를 키울 수 있는지 실험해 보았습니다. 결론은 "안된다!"였습니다. 2017.03.30    양액에 일부만 잠기게 하여 감자를 키울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양액이 얕게 들어있는 용기에 감자를 넣었습니다.  2017.04.09     약 한 달 쯤 지나 감자의 싹이 나고 뿌리도 나왔습니다.  2017년 4월 12일: 큰 수조로 옮기다.     큰 수조로 옮겼습니다.   2017.04.20    감자가 양액에 완전히 잠기지 않도록 컵으로 받쳐 두었습니다. 그리고 에어펌프로 공기를 공급했습니다.  2017.04.23     현재까지는 별 문제 없이 잘 자라고 있습니다.  2017.04.25 병으로 옮기다.     줄기가 많이 올라와서 꿀병에 넣으면 줄기가..

이끼 키우기에 알맞은 양액농도 실험 (2019.02.05 - 2019.04.30)

금년(2019년) 서울도시농업박람회는 '공기정화'라는 화두로 의자식 공기정화기를 만들어 나가려고 했습니다. 공기정화식물을 찾아보니 이끼가 공기정화능력이 아주 좋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끼로 공기정화를 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충분한 양의 이끼를 만들지 못해 박람회에서는 장미허브를 사용했습니다.)  2019년 2월 5일     위의 사진은 저면급액법으로 키우는 바질 중 이끼가 아주 많이 자란 것입니다. 그런데 이상한 것이, 어떤 컵에는 이끼가 많이 끼고, 어떤 컵에는 녹조가 끼고, 어떤 컵에는 둘 다 별로 생기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어떨 때 이끼가 잘 자라는지 알기 위해 실험을 했습니다.  우선, 이끼가 햇빛이 드는 축축한 계단이나 벽에서 잘 자란다는 것을 보아왔기 때문에 암면에 양액을 스며들게 하고 LE..

옐로우파프리카 (2013.04.10 - 2014.02.28)

2013년에 키워보았던 옐로우파프리카의 내용이 정리되어 올립니다. 지금이 2019년이니 오래 전의 일이 되어 버렸군요...  2013년 4월 10일: 씨앗심기      카메라 날짜 세팅이 잘못되어 미래의 일을 찍는 것처럼 되어 버렸습니다.  2013년 08월 21일: 재배기에서 자라는 모습     2019.04.10에 씨앗을 심었던 것인지, 이후에 다시 심은 것인지 기록이 남아있지 않지만, 아무튼 DWC 방식의 재배기에 옮겨심어서 키우는 것입니다.  2013.09.21: 꽃봉오리가 맺힘    파프리카에 꽃봉오리가 생겼습니다. 파프리카의 꽃봉오리는 고추의 것보다 더 큽니다.  2013년 10월 9일: 열매가 맺히기 시작    꽃이 지고 열매가 맺히기 시작했습니다. 파프리카의 열매는 고추와 비교해서 처음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