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릇한 수경재배

자동제어 4

장충동작은도서관에 그린월 설치(2021년 6월~9월): 부품 제작

장충동작은도서관의 의뢰를 받아 현관과 계단에 그린월을 설치했습니다. 도서관의 컨셉과 요구사항을 반영하기 위해 예술작업을 보태었습니다. 이 중 부품 제작 단계를 소개합니다.1. 부품 제작(1) 자동제어부 제작 자동제어부 프로그래밍을 위해 순서도를 작성했다. 양액이 부족하면 알람을 울린다. 수위가 정상이면 온도에 따라 동작이 달라진다. 온도가 30도 이상이면: 뿌리의 호흡을 돕기 위해 30분마다 10분씩 양액을 순환시킨다.온도가 20도 이하이면: 1분 동안 히터를 켜서 따뜻하게 해 준다.온도가 20도에서 30도 사이이면: 1시간 마다 10분 동안 양액을 순환시킨다. 위 동작을 하는 스케치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다. 제어부 회로를 꾸며서 동작을 확인했다. MCU는 아두이노 나노를 사용했다. 수위센서는 광학..

모종 급수 자동화_상추 모종 기르기(2024.11.04)

전도 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종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링크이를 상추 모종을 기르는 데에 적용하여 실용성을 확인했습니다.아래에 과정 전합니다. 1. 설치모종 급수 자동화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추 씨앗으로 모종을 키워보았다. (1) 2024.09.11 씨앗 심기, 모종 급수 자동화 장치 설치   암면과 질석에 각각 상추 씨를 심고 모종용 트레이에 넣었다. 모종용 트레이는 사각수저함을 활용했다.   전체적인 모습이다. 왼쪽은 제어기이고, 오른쪽은 꿀병에 펌프를 넣고 물을 부었다. 물이 나오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밸브를 달았다. 물이 나오면서 생기는 물결이 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위센서는 왼쪽 끝에 두었고, 호스는 오른쪽에 두었다. 수중펌프를 설치..

성북구 도시농부학교 심화반에서 수경재배 강의(2021년)

2021년 하반기에 성북구 도시농부학교 심화반에서 수경재배 강의를 했습니다. 상반기에 기초반을 했던 수강생 그대로 심화반이 진행되었습니다. 상반기 강의 이후 꽤 오랜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상반기에 진행했던 내용을 간략히 복습했습니다. 심화반에서는 수경재배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소개하려고 했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실외 텃밭에서 진행하게 되어 전기를 쓰는 데에 제한이 있었습니다. 1회차에서는 상반기에 했던 기초적인 내용을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회차에서는 수경재배의 자동화에 대해서 강의했습니다. 강의에서 다룬 몇 가지 소개합니다. 자동화의 목적 중의 하나가 편하자는 것입니다. 그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으로, 개별로 관리하는 것을 통합으로 관리하는 개념을 소개했습니다. 배지가 있는 방식에서 양..

홍천농업고등학교 교원 진로역량강화 미래농업 직무연수 (2019.07.18)

강원진로교육원에서 홍천농업고등학교 교원 직무연수를 진행했습니다. 1. 일시: 2019.07.18(목)2. 참가인원: 10명 (전공: 식물자원조경)3. 강사: 박영기4. 장소: 강원진로교육원 미래농업관5. 연수 내용  (1) 양액재배의 이해 및 간이 양액재배기 제작  (2) 양액재배 및 스마트팜 제어 원리의 이해        아홉 분이 연수에 참여하셨습니다.     재배기의 LED를 고정하고 있습니다.     개조하기 위해 신발장에 추가의 구멍을 뚫고 있습니다.     틀을 조립하고 있습니다.      '자동제어 소개' 시간에 강사가 만들어온 자동제어기의 동작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경재배 강의 이력: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