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릇한 수경재배

자동화 9

모종 급수 자동화_상추 모종 기르기(2024.11.04)

전도 방식의 센서를 이용하여 모종에 자동으로 물을 공급하는 장치를 개발했습니다. 링크이를 상추 모종을 기르는 데에 적용하여 실용성을 확인했습니다.아래에 과정 전합니다. 1. 설치모종 급수 자동화 장치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상추 씨앗으로 모종을 키워보았다. (1) 2024.09.11 씨앗 심기, 모종 급수 자동화 장치 설치   암면과 질석에 각각 상추 씨를 심고 모종용 트레이에 넣었다. 모종용 트레이는 사각수저함을 활용했다.   전체적인 모습이다. 왼쪽은 제어기이고, 오른쪽은 꿀병에 펌프를 넣고 물을 부었다. 물이 나오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밸브를 달았다. 물이 나오면서 생기는 물결이 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수위센서는 왼쪽 끝에 두었고, 호스는 오른쪽에 두었다. 수중펌프를 설치..

옥상 양액공급 자동화; 한 재배기에 적용; 프로그램 완성(2024.08.25)

옥상에서  양액을 사용하여 저면급액법으로 식물을 기르고 있습니다. 여름철에는 양액 소비량이 많아 매일 양액을 각 재배기에 부어주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을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하루 이상 집을 떠나기도 어렵습니다. 시간을 벌기 위해 양액 공급을 자동으로 하는 방법을 찾게 되었습니다. 양액 만드는 것은 수동으로 하더라도, 만들어 놓은 양액을 식물로 공급하는 것이라도 자동으로 하고 싶은 것이지요. 우선 한 재배기에 적용할 것을 만들어 적용해보고, 보완하여 모든 재배기에 적용할 생각입니다. 한 재배기에 사용할 것의 프로그램들이 완성되었습니다. 제가 코딩을 알려주는 목적으로 쓰는 글이 아니라 code는 공개하지 않는 점 이해하시기 바랍니다.1. 양액 공급 자동화_개요  1. 통신  (1) MQTT 통신을 적용한다..

성북구 도시농부학교 심화반에서 수경재배 강의(2021년)

2021년 하반기에 성북구 도시농부학교 심화반에서 수경재배 강의를 했습니다. 상반기에 기초반을 했던 수강생 그대로 심화반이 진행되었습니다. 상반기 강의 이후 꽤 오랜 시간이 지났기 때문에 상반기에 진행했던 내용을 간략히 복습했습니다. 심화반에서는 수경재배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화 기술을 소개하려고 했지만 코로나19 때문에 실외 텃밭에서 진행하게 되어 전기를 쓰는 데에 제한이 있었습니다. 1회차에서는 상반기에 했던 기초적인 내용을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회차에서는 수경재배의 자동화에 대해서 강의했습니다. 강의에서 다룬 몇 가지 소개합니다. 자동화의 목적 중의 하나가 편하자는 것입니다. 그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으로, 개별로 관리하는 것을 통합으로 관리하는 개념을 소개했습니다. 배지가 있는 방식에서 양..

포항시농업기술센터 수경재배 강의(2021.11.10)

2021년 1월 12일에 포항시농업기술센터 농촌지원과 기획교류팀으로부터 전화를 받았습니다. 포항시 농업인대학 신소득작물반 45명을 대상으로 수경재배 강의를 해 달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청주시농업기술센터 직원이 추천했고, 원하는 것이 청주에서 한 강의와 같이 수경재배의 원리에 대한 내용이 적합하다고 했습니다. 강의일시는 11/10(수) 2시부터 6시로 정했습니다. 잊고 지내도 될만큼 한참 후의 일이었습니다. 10월이 되어서 센터로부터 강사이력카드를 보내달라는 연락을 받고 강의 준비를 했습니다.  강의 내용과 시간은 위와 같이 했습니다. 자동제어를 시연할 수 있게 준비해 갔는데, 이럴수가! 수위센서를 빼먹고 가서 임기응변으로 손가락의 접촉에 의한 저항값 변화를 이용해서 220V 전구의 불이 켜지고 꺼지는 것을..

토양습도센서의 부식과 해결

안녕하세요? 아두이노에 위 사진과 같은 토양습도센서를 이용하여 식물재배를 자동화한다는 자료가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 대학에서 논문 작성에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써 보면 토양이나 양액 속의 이온화된 영양소 때문에 사진과 같이 부식되어 시간이 지나면서 측정값을 신뢰할 수 없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예전에 작성한 자료가 있는데, 미처 여기에 소개하지 않은 것을 알게되어 시간이 지났지만 소개합니다. .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수경재배 강의 (2019.01.09)

2019년 1월 9일에 경남 진주에 있는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창업대학원 6차산업학과 석사과정을 대상으로 수경재배 특강을 6시간 진행했습니다. 강의 내용은 크게 {1부 수경재배 기초 및 재배기 만들기, 2부 수경재배 자동화}였고,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많은 내용을 하려고 하니 6시간도 부족하군요. 교육생이 직접 만들어서 학교에 설치하도록 했습니다.         경남과학기술대학교 http://www.gntech.ac.kr/web/www/home

[기술자료] 성북정보도서관 지하휴게실에 설치한 수경재배기의 자동화

성수네(성북수경재배네트워크)가 2017 성북구 마을만들기 공모사업을 통해 성북정보도서관 지하로비에 수경재배기를 설치하였습니다. 이 수경재배기에 적용한 자동화기술의 자료가 정리되어 올립니다. 일반인들도 조금만 공부하면 자동제어를 스스로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자..

“수경재배 자동화 과정” 사전 조사

수경재배 교육을 받으신 분 중 수경재배를 자동화하는 것에 대한 강의 요구가 있어 2018년 1월 개설 목표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내용은 첨부(현재는 메모 수준)와 같이 하려고 합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은 아래의 설문에 답해 주시면 반영하여 강의 준비 하겠습니다. 성북수경재배네트워크(http://cafe.naver.com/sbhydroponics.cafe) 박영기 올림.  설문: https://goo.gl/forms/aVIKDfsOW5vcT5M62 수경재배 자동화 과정_다룰 내용_2017-12-20.hwp수경재배 자동화 과정_다룰 내용_2017-12-20.hwp0.02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