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릇한 수경재배

도시농업 277

도시농사 이야기_5월의 이야기(2025년 05월)

도시에서 어떻게 농사를 지을까? 노지재배, 수경재배, 스마트팜,... 식물 키우는 것에 대해 온갖 것들을 이야기해 보는 시간을 가집니다. 5월에는 “수경재배하면 식물이 더 잘 자랄까?”라는 주제로 이야기해 보겠습니다.1. 일시: 5/26(월) 저녁 7시장소: 호박이넝쿨책 (성북구 아리랑로 120-10 1층) 링크이야기꾼: 박영기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삼덕마을 환경영화공작소 참여(2020년)

2020년에 에 특강과 수경재배기 설치로 참여했던 내용이 정리되어 공유합니다.1. 삼덕마을과 "삼덕마을 환경영화공작소"삼덕마을 소개성북마을아카이브: 링크 "세 가지 덕을 갖고 함께 살아가는 삼덕마을", 성북구사회적경제센터: 링크삼덕마을 영화공작소 소개"삼덕마을 환경영화공작소 청소년 모집", 포스터: 링크"삼덕마을 환경영화공작소 결과보고서", Youtube: 링크2. 진행 내용(1) 특강2020년 6월 26일에 "탄소를 고정합시다"라는 제목으로 강의했다. 강의 목차은 다음과 같다.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온실효과(Greenhouse Effect)온실효과 기체(GHG: Greenhouse Gas)이산화탄소: 어디에서 왔나?필요한 일탄소 고정(Carbon Fixation): 어떻게탄소고정을 위한..

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참가(2023년): 신청

"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참가(2023년): 신청": 링크"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참가(2023년): 제작": 링크"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참가(2023년): 대회 및 전시": 링크 (여기)2023년에 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에 참가했습니다. 참가 준비 과정을 소개합니다.1. 연락 받음서울시농업기술센터로부터 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아이디어 정원 부문에 서울시 대표로 참가해 달라는 연락이 왔다. 일정을 보니 큰 무리가 없을 것 같아 하겠다고 했다. 2. 신청 안내 자료를 살펴보고, 참가신청서를 제출했다. 3. 작품 설명작품 옆에 전시할 설명문이다. 제출하고 보니 '올리브'를 '올리버'라고 잘못 적었음을 발견했다. '걸리버'와 헷..

도시농사 이야기(11월): 비료를 어떻게 만들어? (일정 변경)

일정이 변경되었으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우리는 비료를 돈 주고 사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료의 재료는 넘치고 넘쳐서 돈 주고 버려야 하는 시대이기도 합니다. 순환이 끊어진 대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11월에는 비료 만들기에 대해 알아보고, 도시에서 비료를 만드는 것의 한계와 대응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일시: 2024.12.07.(토) 오후 5:00-6:302. 장소: 호박이넝쿨책(책방). 성북구 아리랑로 120-103. 회비: 없으나, 끝나고 저녁 식사는 각자 냅니다.4. 이야기 하는 이: 박영기(성북수경재배네트워크 대표) https://myslice.is/@st4008

도시농사 이야기(10월): 토경재배와 수경재배

도시농사 이야기, 10월에는;   1. 토경재배와 수경재배에 대해 알아봅니다. (1) 두 농법의 차이 (2) 생태순환 관점에서 두 농법 바라보기 (3) 수경재배 기술을 토경재배에 활용할 만한 것들   2. 아리랑고개텃밭의 활동계획을 검토합니다. 옥상에서 농사짓고 싶은 분은 지금부터 참여하세요~.   1. 일시: 2024.10.26.(토) 오후 5:00-6:302. 장소: 호박이넝쿨책(책방). 성북구 아리랑로 120-103. 회비: 없으나, 끝나고 저녁 식사는 각자 냅니다.4. 이야기 하는 이: 박영기(성북수경재배네트워크 대표) https://myslice.is/@st4008

도시농사 이야기(8월): 도시농사의 예

안녕하세요? 박영기입니다.   도시농사 이야기, 8월에는 도시농사의 예에 대해서 다룹니다. 옥상에서 식물을 기른 이야기, 계단 난간에서 벼를 기른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환경제어를 이용한 예로 메트로팜, 스마트팜 카페도 소개드립니다.    옥상 텃밭 사진 몇 장 올립니다. 성북50플러스센터 옥상 텃밭은 수강생과 함께 만들었고, 너른마당 옥상 텃밭은 선생님들과 함께 만들었습니다. 저희 집 옥상 텃밭은... 혼자서 만들었습니다. 퇴비 만들기, 텃밭 활동, 도시농업, 전환도시운동에 관심 있으신 분 오세요~.   1. 일시: 2024.08.24.(토) 오후 5:00-6:302. 장소: 호박이넝쿨책(책방). 성북구 아리랑로 120-103. 회비: 없으나, 끝나고 저녁 식사는 각자 냅니다.4. 이야기 하는 이: 박영..

도시농사 이야기(7월): 탄소중립 이후의 세상

안녕하세요? 박영기입니다.   도시농사 이야기, 7월에는 탄소중립 이후의 세상에 대해서 다룹니다. 학자들도 자신 있게 예측하지 못할 일을 동네 사람들끼리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우리의 선견지명을 검증하려는 것이 아니라 확실히는 모르더라도 어떻게 될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보고, 그 중 중요하다 싶은 것, 할 수 있는 것을 준비해 보자는 것입니다. 나중에 도시농사로 귀결될 것이지만 생각해 본 것과 아닌 것의 차이는 활동할 때에 뚝심으로 나타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한편, 도시농사를 실제로 해 보기 위한 준비도 하고 있습니다. 구민회관과 한신아파트 201동 근처에서 이미 텃밭 활동을 하고 있고, 정릉역 근처 주택의 옥상은 가을부터 텃밭을 만들 계획입니다. 텃밭이 늘어나면서 텃밭지기도 찾고 있으니 도전해 보..

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_아이디어 정원 부문 참여 과정

안녕하세요? 2023년 진행된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아이디어 정원 부문에서 “지구에서 살자”라는 작품명으로 참가했습니다. 의뢰받아서 준비하고, 대회에 나가고, 전시하고, 회수한 과정이 정리되어 소개합니다. "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참가(2023년): 신청": 링크"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참가(2023년): 제작": 링크"제19회 생활원예·치유농업 중앙경진대회 참가(2023년): 대회 및 전시": 링크

성동50플러스센터 활동박람회 & 수경재배 강좌

안녕하세요? 금년에 문을 연 상동50플러스센터에서 활동박람회를 엽니다. 크게 {즐길거리, 볼거리, 참여하기}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참여하기 중 [환경zone]은 {아나바타 장터, USB화분 만들기, 친환경 비누 만들기}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 중 [USB화분 만들기]는 “도시농부 양성과정(수경재배)” 1기 수강생 중 세 분이 체험 강사로 활동합니다. 그날 저는 출근하는 날이라 멀리 마포구에서 응원하겠습니다~.   성동50플러스센터 홈페이지: https://www.50plus.or.kr/sdc   plus!도시농부 양성과정(수경재배) 2기 수강신청 진행 중이니 놓치신 분은 신청하세요~. https://www.50plus.or.kr/sdc/education-detail.do?id=27526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