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를 심었더니 줄기가 많이 나왔습니다. 감자재배 자료를 보면 줄기를 1~2개 두고 뽑으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감자 덩이에서 뽑은 것은 줄기 끝에 뿌리가 달려 있습니다. 이것을 DWC방식으로 양액에 뿌리를 담가두더라도 양액이 부패하여 죽었습니다. 그때 문득 휘묻이로 뿌리를 내릴 수 있는지 궁금하여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결론은 "안된다"였습니다. 자세한 내용 올립니다.
2017년 3월 20일
휘묻이로 감자 줄기에서 뿌리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감자를 심었습니다.
2017년 3월 28일
감자의 싹이 났습니다.
2017년 4월 16일
감자를 좀 더 넓은 용기로 옮겨심은 후 줄기를 휘어 양액에 잠기에 했습니다.
2017년 4월 28일
12일이 지나도 줄기에 뿌리가 나지 않았습니다. 이후 더 많은 날들을 기다려 보았으나 감자의 줄기에서 뿌리는 나오지 않았습니다.
결론
1. 감자는 덩이에서 나온 줄기 끝에서만 뿌리가 난다.
2. 덩이에서 나온 줄기를 뽑아서 흙이나 배지에 심으면 뿌리가 나고 계속 자란다.
3. 덩이에서 나온 줄기를 뽑아서 양액에 넣으면 자라다가 부패하여 죽는다.
4. 줄기의 중간을 양액에 담가도 뿌리가 나지 않는다.
'수경재배 주제별 자료 > 발아, 꺾꽂이, 옮겨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울토마토와 고추 어릴 적 꺾꽂이 (0) | 2022.06.02 |
---|---|
귀차니즘 발아법(2021.09.13.) (0) | 2021.09.13 |
수경재배 질문과 대답 (싹 날 때와 관련) (0) | 2019.12.14 |
실내에서 기른 식물을 실외로 옮겨심을 때의 주의점 (햇빛 관련) (0) | 2019.07.09 |
배지와 습도에 따른 발아율 차이 (2013.05.19) (0) | 2014.02.11 |